추나요법 안내

현대인들에게는 허리와 목 통증이 많이 발생되는데요. 척추 질환이 늘어나는 만큼 척추 치료법도 다양해졌고, 그 중에서도 특히 비수술치료법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수술을 하지 않고 척추와 주변 인대, 근육의 자생력을 키워 허리 통증과 디스크 질환을 치료하는 한방치료법이 각광받고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비수술 척추 치료법이 추나요법입니다.

 

 

추나요법 정의

 

 

 

추나는 용어가 생소해서 일반인들이 많은 인식을 하지 못하는 상태이지만, 최근 한의학의 추나요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추나의 단어적인 의미는 "밀고 당기는 다양한 기술로 형체를 바르게 하는 방법" 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추"가 의미하는 발산과 "나"가 의미하는 응집개념, 즉 원심성의 "추"와 구심성의 "나" 가 나타내는 물리학적 역학을 동원하여 한의학적 기초 이론으로 분석한 임상적 치료기술로서 한의학의 외치법의 하나로 한의사가 여러 수기법을 통하여 환자를 시술하는 치료의 한 방법입니다.

 

 

 

추나요법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는 시술자의 손과 지체의 다른 부분을 사용하거나 보조기구 등을 이용하여 인체의 피부골격계에 자극을 줌으로써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총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추나요법 역사

 

 

 

 

수기요법은 환부를 손으로 만지면 통증이 사라지거나 감소하는 것에서 착안되어 활용되어 온 치료법으로, 동서양을 막론하고 거의 모든 나라에서 이용되어 온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습니다.

 

 

가장 오래된 근거로는 4,000여년 전 태국의 고대 조형물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는데, 한국, 중국, 일본, 인도 등은 비슷한 동양 문화권 국가들로 수기요법에서 유사한 측면을 지니고 있습니다.

 

추나요법 원리

 

 

 

피부근골격계에 대한 자극은 인체의 특정부위인 경락계통, 즉 경피, 경근, 경혈, 경락, 손락, 혈락 등을 자극하거나, 척추, 관절, 골구조의 이상현상을 조작하여 정상위치로 교정해줌으로서 질병의 원인이 되는 요소들을 제거하여 인체가 근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자연치유력을 회복시켜 질병을 치료, 예방하는 방법이라는 포괄적인 정의를 할 수 있습니다.

 

추나요법 작용

 

 

 

 

 

추나요법의 치료작용은 해부학적 위치 이상을 교정하고 장부의 내부에너지와 생체신호를 조정하 여 근육신전, 관절활동 기능촉진, 유착해소, 동통해소 등의 작용을 통하여 병리적 상황을 조절 합니다. 해부학적 위치이상을 교정하고 장부의 내부 에너지와 생체신호를 조정하여 근육신전, 관절활동기능촉진, 유착해소, 동통해소 등의 작용을 통하여 병리적 상황을 조절 합니다.

 

추나요법 종류

 

 

 

추나기법은 근육의 기능과 구조의 이상현상을 치료하는 경근추나, 골구조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병증을 치료하는 교정추나,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키거나 질병을 예방하는 방법의 운동추나로 나뉩니다. 크게는 신체 관절 구조물에 시행하는 정골 추나요법과 신체의 연부조직에 시행하는 근막 추나요법으로 나뉘어집니다.

 

추나요법 적용범위

 

 

 

 

 

추나요법의 적용범위는 내과질환에서부터 마취법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지만 주로 통증과 마비증을 호소하는 근골격계질환에 치료 효과가 큽니다.

 

 

추나요법은 여러가지 수기법을 통하여 근골 및 관절의 손상과 변위를 직접적으로 교정하여 근골과 관절의 평형을 조정하여 인체의 기혈운행을 원활하게해 운동성을 향상시키고 통증을 감소시켜 질병을 치료하는 효과를 거두는 것입니다.

 

추나요법 효과

 

 

 

추나요법은 근막통증증후군, 경추증후군, 경요추간판탈출증, 천 장관절 변위, 흉추 관절변위, 견관절주위염, 변형성척추증, 요부염좌, 악관절 장애 등에 치료 효과가 탁월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시술시 치료효과를 높이고 시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카이로프라틱 침대를 이용하며, 보편적인 약물치료, 물리치료, 침구치료 등을 병행하기도 합니다.

 

 

 

추나요법은 일시적인 교정치료가 아니라, 2002년 한국 한의학 최초로 뇌신경 내과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인정받은 미국 UC어바인대학교 의과대학의 선택과목으로 채택되어 임상에서 사용할 만큼 그 효과와 효능을 인정받았습니다.

 

'평생 몸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반증 조심  (0) 2020.05.05
대사증후군이란 !  (0) 2020.05.04
부비동염 주목  (0) 2020.05.01
프로스카 안전할까  (0) 2020.04.30
무릎 절골술 알아보기  (0) 2020.04.28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