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혈압 증상 !

고혈압에 대한 위험성을 경고하는 경우는 많으나 저혈압에 대해서는 가벼이 여기는 경우가 많지만 저혈압 또한 고혈압만큼 건강에 큰 이상신호입니다. 저혈압 증상이 있어도 관리하지않고 방치하면 뇌,심장,신장 등 주요 장기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급격히 줄어들어 심장질환, 부정맥 등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저혈압은 수축기 혈압 90mmHg보다 낮은 상태인데, 이완기 혈압은 수축기 혈압에 비해 환자의 기능장애를 동반하는 저혈압 상태를 잘 반영하지는 않지만 60mmHg 미만을 일반적으로 정의합니다.

 

 

하지만 이런 수치적인 정의보다는 환자 개개인의 나이, 동반질환, 생리기능에 따라 혈압이 낮아지는 것에 대한 적응도 달라지고 저혈압 증상과 예후도 다릅니다.

 

저혈압 증상

 

 

 

 

혈압이 낮아지는 속도와 이에 적응하는 정도에 따라 무증상부터 실신 등 다양하게 증상이 나타납니다.

 

 

호흡곤란, 창백, 어지러움, 두통, 피로감, 피부가 차고 축축함, 가슴답답, 미열, 맥이 불규칙함, 속이 메스껍거나 구토 정신 집중이 안됨 시력이 흐려짐 목이 마름 등의 다양한 저혈압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급성 저혈압 증상

 

 

 

 

갑자기 발생하는 급성 저혈압 쇼크 원인으로는 외상에 의한 출혈, 위장관 대량출혈 등에 의한 실혈, 화상 등에 의한 체액 감소, 심한 구토가 있습니다

 

 

또한 설사 등에 의한 체액 감소, 심한 구토 또는 설사 등에 의한 체액 감소가 되는 체액 감소성 쇼크와 심근경색증 등의 관상동맥 질환에 의한 심인성 쇼크, 온몸에 균이 퍼져서 생기는 패혈성 쇼크 등 저혈압 증상이 있습니다.

 

 

 

 

또한 폐동맥이 혈전 등에 의하여 폐쇄되거나 심낭삼출이 다량으로 발생하여 심장을 누르는 등의 질환에서도 저혈압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율신경계 반응의 이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미주신경성 실신도 이에 속합니다.

 

기립성 저혈압 증상

 

 

 

 

사람이 앉았다가 일어서면 중력에 의해 피가 아래쪽으로 몰리며 자율신경계의 반사작용에 의해 하체의 근육 및 혈관 수축으로 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10~15mmHg 정도 혈압이 감소합니다. 그러나 나이를 먹을수록 심혈관계가 빠르게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집니다.

 

 

 

이 때문에 갑자기 앉았다가 일어서거나 누워 있다가 일어날 때 순간적으로 혈압이 낮아지고 뇌혈류가 떨어지면서 어지럽게 되는 저혈압 증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또 술을 마시거나 탈수가 심하거나 목욕물에 오래 앉아 있어서 하체의 혈관이 확장되었을 때 저혈압 증상이 잘 발생합니다.

 

식후 저혈압 증상

 

 

 

식사를 하면 많은 양의 혈액이 장 운동이 활발해지는 소화기계로 분포가 되는데 상대적으로 다른 장기의 혈액 공급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노인이나 질병에 의해 이런 자율신경계의 보상이 감소하여 있거나 탈수나 출혈로 혈액량이 감소하는 경우 식후에 저혈압이 나타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조금씩 자주 식사를 하고 탄수화물이 적은 식사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약제에 의한 저혈압 증상

 

 

 

주로 고혈압 약제에 의해 혈압이 낮아지는데 모든 고혈압 약제는 많이 사용하게 되면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항협심증 약제나 항파킨스씨병 약제, 몇몇 우울증 약, 전립선 비대에 사용하는 알파차단제를 협심증 약제와 같이 복용 시에도 저혈압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저혈압 증상 진단

 

 

환자에게 병력을 청취하고 문진하는 것이 중요하며 맥박, 호흡수, 혈압을 측정합니다.

 

 

 

원인을 찾는 검사가 중요하며 혈액 검사를 하면 출혈 여부를 보기 위해 혈색소(헤모글로빈)와 헤마토크리트를 검사하고 그 외 혈당을 측정하고 위장출혈 여부를 보기 위해 직장수지 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저혈압 증상 치료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만성 저혈압은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급성 저혈압의 치료는 그 원인을 찾아내어 교정하여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장관 출혈이 심해서 생긴 급성 저혈압은 수혈과 함께 출혈의 원인을 찾아내어 출혈을 멈추게 하여야 합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치료는 원인이 되는 것을 파악하여 교정 가능하면 교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나이, 당뇨병 등 원인을 해결하기 어렵다면 천천히 일어나는 것을 습관화하고, 천천히 일어나도 어지러움을 느끼면 조금 쉬어 증상이 없어지면 움직이는 것이 좋습니다.

 

'평생 몸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낭성 난소증후군 체크  (0) 2020.05.13
담도암 요약  (0) 2020.05.11
난시 해결  (0) 2020.05.08
b형간염 예방접종 모든것  (0) 2020.05.07
반월상 연골 파열 무엇  (0) 2020.05.06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