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간염 예방접종 모든것
- 평생 몸짱
- 2020. 5. 7. 14:51
아마 부모님들이 b형간염 예방접종을 꼭 하나는 말을 들어 보셨을 겁니다 B 형간염은 B 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어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만성 b 형 간염과 급성 B 형 간염으로 나누어진다고 합니다
B 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면 만성 보유자가 될 수 있으며 나중에 간암이나 간경화와 같은 간질환으로 실행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합니다
예방접종을 통해 b 형간염 보유자가 많이 줄어들었지만 외국에 비해 아직도 많이 나타나고 있는게 현실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한국인이라면 b형간염 예방접종도 a형간염 예방접종도 필히 해야 된다고 합니다
b형간염 전파경로는
B 형 간염은 어떻게 전파되는지 가장 궁금해 하실 텐데요 감염된 사람의 혈액이나 책을 통해서 전파된다고 합니다 직접적으로 수혜를 받을 때 발생될 수 있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헌혈을 할 때도 B 형 간염인 경우에는 절대 진행하지 못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오염된 주사기를 사용하거나 침습적인 시술이나 검사를 했을 경우 B 형 간염 산모로부터 신생아에게 주산기감염이 된 경우에 전파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귀걸이나 피어싱 같은 비위생적인 날카로운 도구 때문에도 전파될 수 있다고 합니다
b형간염 증상은
안타깝게도 B 형 간염의 증상은 없는게 특징이라고 합니다 침묵의 질환이라고도 불리는 b 형간염은 우리의 중요한 장기인 간과 매우 비슷하다고 합니다 그래도 일반적인 증상을 살펴 보자면 근육통이나 관절통 식욕 저하 피로감 발열감 황달 복부팽만 등의 증상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다른 질환의 증상과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B 형 간염이라고 생각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게 사실입니다
b형간염 예방접종
b형간염 예방접종은 B 형 간염을 예방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 인데요 접종대상은 모든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과거에 B 형 간염에 감염 증거나 예방접종력이 없는 고위험군 소아나 청소년 어른의 경우에도 b형간염 예방접종이 꼭 진행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고위험군 일하는 것은 B 형간염 바이러스를 갖고 있는 가족이나 혈액투석을 받은 환자 의료기관 종사자 혈액제제를 지속적으로 수혈 받아야 하는 환자에 해당된다고 합니다 b형간염 예방접종 시기는 생후 0개월 1개월 6개월에 총 3회 기초 접종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b형간염 예방접종후 이상반응
많은 분들이 b형간염 예방접종을 한후에 이상반응 때문에 걱정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b형간염 예방접종을 한후에 이상반응이 나타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고 합니다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이상반응 이라면 접종한 부위가 붓거나 통증이 생기거나 일시적으로 염증이나 피부발진 발열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합니다
만약 정말 드물게 이러한 이상반응이 생겼더라도 대부분 하루에서 이틀 사이에 사라진다고 하니 걱정 안 하셔도 되겠습니다
b형간염 예방접종 가격
이번에는 가장 많은 질문으로 뽑힌 예방접종 비용에 대해서 말씀드릴게요 우선 A 형 간염 예방 접종의 경우 55,000원의 비용이 들어가게 되고 B 형 간염은 15,000원이 들어간다고 합니다
A 형 간염은 6개월 후에 2차 접종을 하면 되지만 B 형간염은 1차 접종 후 1개월 뒤에 2차 접종을 진행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2차 접종 후 5개월 후에 3차 접종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백신을 접종했는데도 항체가 안생긴다면
만약 B 형 간염 백신을 3회까지 다 접종을 했는데도 항체가 생기지 않는다면 이런 사람들을 무반응자라고 하는데요 3회 접종을 했는데도 항체가 생기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3회 접종을 재시도 해야 한다고 합니다
물론 재접종을 하는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총 6회 백신을 접종했는데도 항체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완전 무반응자로 분류하여 더 이상 접종을 권장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가끔 1회만 접종을 받고 시기가 지나 다시 맞는다면 처음부터 다시 해야될지 물어보는 사람이 있습니다 만약 처음 접종을 받고 난 후에 1년이 지나 다시 병원을 방문했다면 처음부터 다시 접종 할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정해진 횟수 3회만 접정을 하면 된다고 하는데요 1차 접종 후에 시기가 한참 지났다면 최대한 빨리 2차 접종을 하고 5개월 후에 3차 접종을 진행하면 괜찮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