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간판 탈출증 가이드
- 평생 몸짱
- 2020. 4. 24. 18:08
흔히 디스크라고 알려져 있는 추간판 탈출증은 척추뼈와 척추뼈 사이에 있는 추간판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손상을 입어 추간판 내부에 있는 수핵이 탈출을 하여 주변을 지나다니고 있는 척추신경을 압박하게 되어 여러가지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라고 합니다
추간판 탈출증
추간판은 척추뼈 사이에 있는 관절 연골중 한 가지라고 하는데요 이것이 척추가 움직일 때마다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섬유륜과 수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섬유륜은 추간판 주변을 둥글게 감싸고 있는 섬유조직이라고 합니다
수핵은 추간판 한가운데에 있는 젤라틴성분의 조직이라고 합니다 이 조직이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면 디스크라고 하는 것이죠 퇴행성이나 외상으로 인해 섬유륜이 손상될 경우 수핵이 밖으로 밀려나오게 되는데요 이때 주변 신경들을 압박하게 되면서 여러가지 통증을 유발한다 고합니다 이것을 추간판 탈출증이라고 하는 것이죠
추간판 탈출증은 척추의 어떤 부위에서나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추위에 추간판 탈출증은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매우 흔하다고 합니다 경추 흉추 순으로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 숫자는 매우 적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추간판 탈출증이나 디스크를 요추 추간판 탈출증이라고도 부른다고 합니다 추간판 탈출증이 생겨나는 부인은 6초의 경우 제 4번과 5번 그리고 일본 척추 사이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경추는 5분과 6번 경추 사이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이 신경들은 신체 고유의 감각과 운동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통증도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추간판 탈출증이 어떤 부위에 생겼냐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죠
원인은 무엇일까
추간판 탈출증이 생겨나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우선 퇴행과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반복적인 외상으로 인해서도 생겨날 수 있다고 합니다
나이가 어릴 때는 수분 함량이 88프로나 되기 때문에 그 기능이 매우 훌륭하다고 할 수 있는데요 나이가 들면 이 수분이 점점 줄어들어 70%까지 줄어든다고 합니다 이렇게 되면 추간판의 탄력이 줄어들고 흡수능력도 떨어져 똑같은 행동을 하더라도 압박을 받는 강도가 다르다고 합니다
평균 체중보다 더 무거운 체중을 가질 경우 척추가 부담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퇴행성질환 돈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환자들을 보면 대부분 허리를 구부리고 다니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다가 허리를 다친 경험이 있다고 합니다 계단에서 떨어지거나 여러 가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전문의들은 현대에 들어서 추간판 탈출증이 더욱 쉽게 발생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에는 체중의 증가와 노화현상 근육량의 감소 잘못된 자세 비만 유전적인 요인 등을 꼽을 수 있다고 합니다
증상은 어떻게 다를까
실제 환자들이 경험하고 있는 통증을 말씀드리자면 다리가찌릿찌릿 하거나 당기거나 수신은 통증이 점점 아래쪽으로 뻗어 나간다고 합니다 그리고 엉덩이나 허리 부분의 통증이 생겨나고 다리에 근력이 떨어져 힘이 없으며 매우 무겁게 느껴진다고 합니다
그리고 반대쪽 다리에 비해서 감각이 둔하여 똑같은 감각을 느끼지 않는다고 합니다이것을 두고 좌골신경통이라고도 하는데요 워낙 증상이 비슷하다 보니 이런 말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치료는 어떻게
요즘 치료법은 수술적 치료 보다는 비수술적 치료법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비수술적 치료법에는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휴식과 안정이 있습니다 보존적치료라고 해서 약 한 달에서 두 달 정도를 시행하게 되는데 대부분 MRI 촬영을 한 후에 진행한다고 합니다
휴식의 경우 활동 양을 줄이고 무릎 밑에 베개를 놓아 휴식을 취하는게 좋다고 합니다 약물치료의 경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와 근육이완제를 사용하게 되는데요 약을 먹되 휴식을 취해 주어야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물리치료는 온찜질이나 냉찜질 고주파 치료 초음파 치료를 하게 된다고 합니다 통증에 따라 치료가 달라지기 때문에 전문의와 상담을 하는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수술적 치료법은 비수술적 치료법이 효과가 없을 때 진행하게 되는데요 삶의 질이 떨어지거나 정상적인 활동을 하기가 힘들 경우에만 진행하게 된다고 합니다
대부분 감각 이상이나 신경손상으로 인해 대변 기능에 이상이 생길 경우에 진행하게 된다고 합니다 추간판절제술과 최소절개 수술을 진행하게 된다고 하네요
'평생 몸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습관성 어깨 탈골 탈출 (0) | 2020.04.27 |
---|---|
여성 갱년기 증상 자가진단 확인 (0) | 2020.04.26 |
발뒤꿈치 통증 해결 (0) | 2020.04.23 |
갱년기우울증 증상 check (0) | 2020.04.21 |
석회성 건염 안내 (0) | 2020.04.20 |